전체 글 1300

전북천리길 완주 소감문

☞ 2022년도에 걸었던 둘레길 중 대표적 사진 몇장 전북천리길은 전북의 14개 시‧군의 44개 코스 405km(천리)에 이르는 다양한 길들이 가지고 있는 이야기와 풍경 그리고 그 지역의 유구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생각하며 지역민들 속에 녹아있는 삶을 들여다보며 걷는 ‘명품길’입니다. 그 길의 시작은 2019년 7월 2일 지리산둘레길1코스(구룡폭포순환길)부터 걷기 시작하여 2022년도에는 33개(75%) 코스를 걷고 2023년도 1월 첫 주에 2개 코스로 마감하였습니다. 가장 마지막 44번째(1월6일)는 장수군에 소재한 ‘장안산마실길’로 오지 중의 오지인 장수 덕산리 연주마을입구(해발 649m) 하얀 눈이 두툼하게 쌓인 길을 혼자서 걸어 2010년 전기가 들어간 지실가지마을(8가구 거주)을 거쳐 설국..

글쓰기/단상 2023.01.19

오지마을 지실가지 지나 순백의 장안산마실길을 걷다

장안산마실길은 전북천리길 4가지 테마길(산들길, 해안길, 강변길, 호수길) 중 산들길에 속해 있는 장수군 제3길의 명칭이다. 대중교통이 불편하여 장수터미널에서 택시로 덕산저수지 수변도로에 있는 연주정류장(13,000원)으로 가다. 아침 기온이 꽤 춥고 지실가지 들어가는 도로는 하얀 눈으로 덮여 온 세상이 잠자는 것 같다. 8번의 계곡을 건너 2010년 전기가 들어왔다는 오지마을 지실가지(8호 거주)를 지나 장안산등산로 고개를 향해 뽀드득뽀드득 소리를 들으며 걷다. 정자 쉼터 옆의 인증함을 사진에 담고 아무도 가지 않았던 눈길을 헤치고 고개를 올라서니 이정표가 반겨주고 해발 870m 쯤 되는 듯싶다. 능선 주변의 순백의 눈이 눈부시다. 둘레길은 급경사이나 한 손으로 가드라인 줄을 잡고 한 손으로 스틱을 짚..

행복을 아는 시기

“행복은 지나가고 나야 안다.”라고 합니다. 정곡을 찌르는 말로 받아들이면서 나이 칠십대에 이르러 지나간 때를 회상하며 행복한 시간들을 떠올려 봅니다. 먼저는 교회 성가대지휘자 시절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마음의 소원을 주시고 기도하게 하시다가 직장생활 가운데 교회음악을 공부할 수 있도록 인도하여주시고 숱한 어려움을 헤쳐 나가며 기쁨으로 배우게 하시고 또 지휘자로 섬기게 하셨습니다. 경기도에서 전주로 이사 와서 출석 교회의 찬양대를 맡아 18년 동안 찬양곡을 선곡하며 멜로디와 리듬과 박자를 살피고 곡의 구조와 표현과 지휘기법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지휘하였습니다. 수많은 시간과 수고와 노력과 인내로 지켜낸 여정에 함께하시며 힘주시고 인도하신 주님으로 인하여 교회 봉사 중 가장 행복한 시간들 이었고 가슴 뛰는 시..

글쓰기/단상 2023.01.17

람사르습지 운곡습지생태길2코스(운곡저수지둘레길)를 걷다

운곡습지생태길2코스는 전북천리길 4가지 테마길(산들길, 해안길, 강변길, 호수길) 중 산들길에 속해 있는 고창군 제2길의 명칭이다. 이 코스는 운곡저수지를 한 바퀴 일주하면서 안덕제, 운곡서원, 조류관찰대, 용계마을을 두루 거치는 코스다. 또한 이곳은 2011년 람사르 습지로 등록된 운곡습지로 국가생태관광지로 멸종 위기의 야생동물을 비롯한 희귀 동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로 다양한 생명체들이 내뿜는 강인한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운곡습지친환경주차장(무료)에 주차하고 수변길을 걸으며 겨울 철새들을 관찰하며 안덕제(가시연시험복원지)와 운곡서원을 거쳐 우리나라 최대고인돌(300톤)과 운곡습지홍보관을 보고 ‘소망의 종’에서 인증하고 종소리를 세 번 쳐보다. 운동하는 고령자들 3명을 만나 인사하고 눈길..

하나님의 숨결을 찾아서(열네번째 : 거룩한 성/아담스)

2015년 3월29일 주일은 종려주일이고 바로 고난주간으로 이어지는 사순절 여섯 번째 주일로 할렐루야찬양대 예배찬양은 S.Adams가 작곡하고 B.Treharne가 편곡한 「거룩한 성」입니다. 이곡은 기독교음악사에서 출판한 「명성가 제1집」 P.286에 있는 찬양으로 4/4박자의 다장조 A(1~24마디), B(25~48마디), C(49~88마디)로 88마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천년 전 예수님이 어린 나귀를 타시고 예루살렘 성을 입성 하시던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진 가사를 적어봅니다. 나 어제 밤에 잘 때 한 꿈을 꾸었네 그 옛날 예루살렘성의 곁에 섰더니 허다한 아이들이 그 묘한 소리로 주 찬미하는 소리 참 청아 하도다 천군과 천사들이 화답함과 같이 예루살렘 예루살렘 그 거룩한 성아 호산나 노래하자 호산..

눈 쌓인 선비의길을 걷다

선비의 길은 전북천리길 4가지 테마길(산들길, 해안길, 강변길, 호수길) 중 산들길에 속해 있는 순창군 제3길의 명칭이다. 이 길은 세대를 초월한 선비의 기품을 느끼며 추령천을 따라 유유자적 선비의 마음과 걸음으로 걸을 수 있는 길이다. 초여름에는 추령천 뚝방길에 심어놓은 이팝나무 가로수의 흰꽃바다로 들어가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시점에 있는 훈몽재는 조선시대 인종의 선생인 김인후가 지은 강학당으로 정철을 비롯한 조희문, 양자징, 변성온 등 당대의 학자들을 배출한 해동 유학의 산실이었다. 데크길에 수북하게 쌓인 눈 속을 한발 한발 내딛기가 힘 들었으나 참고 전진하여 사과정에 이르고 다시 눈길 속을 걸어 사창마을에 있는 대한민국 초대 대법원장을 지낸 김병로(김인후 15대손) 생가를 둘러 보다. 이어..

희망

희망은 한 줄기 빛과 같습니다. 주변이 캄캄하여 도무지 앞길이 보이지 않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쩔쩔매며 한 숨만 쉴 때에 혜성처럼 나타나는 빛입니다. 그 빛은 유일한 인도자요, 의지하는 힘입니다. 현재의 형편이 암울하고 의미 없는 것처럼 보여도 유일하게 보이는 출구입니다. 그것은 긴 터널의 출구와 같습니다. 희망은 처음과 같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처음 것은 소중한 순간입니다. 좀 어설프고 어리게 보여도 당사자에게는 대견하고 소중한 시간입니다. 사람은 처음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첫 사랑, 처음 만남, 첫 경험, 첫해, 첫날 등 모두 소중합니다. 희망은 이와 같습니다. 희망은 생명과 같습니다. 생명은 성장하고 자랍니다. 생명은 살아 움직입니다. 생명은 그 자체만으로도 경이롭습니다. 희망의 반대..

글쓰기/단상 2023.01.10

무인지경 흰 눈속의 옥정호마실길을 걷다

옥정호마실길은 전북천리길 4가지 테마길(산들길, 해안길, 강변길, 호수길) 중 호수길에 속해 있는 임실군 제1길의 명칭이다. 옥정호주차장(국사봉)에 도착하여 우선, 붕어섬 전망대로 올라가다. 쌓인 눈이 녹으면서 빙판이 되어 미끄럽지만 하얀 눈을 뒤집어 쓴 붕어섬과 주변의 멋진 경관을 안보고 마실길로 갈 수 없었다. 붕어섬출렁다리와 붕어섬의 풍경은 아름답지만 옥정호 물이 너무 말라 안타깝다. 요산공원 가는 마실길은 아무도 다니지 않았던 눈길로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발목 위까지 푹푹 빠져 앞으로 나가기 힘들다. 그렇지만 붕어섬출렁다리를 가까이서 한 눈에 볼 수 있는 데크전망대가 있다. 요산공원 나뭇가지마다 수증기가 얼어붙은 상고대가 장관이다. 파란 하늘과 하얀 상고대가 어울린다. 입석마을에서 수변데크를 따라..

하나님의 숨결을 찾아서(열세번째 찬양 :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사/쉐이커)

2015년 3월22일 주일은 사순절 다섯째 주로 할렐루야찬양대 예배찬양은 W.A.Shawker가 작곡한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사」입니다. 이곡은 기독교음악사에서 출판한 「명성가 제1집」 P.299에 있는 찬양으로 3/4박자의 내림라장조 A(1~34마디), B(34~62마디), C(62~98마디)로 구성되며 전체 98마디로 되어 있습니다. 그 가사는 요한복음 3장16절로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독생자를 주셨으니 하나님이 사랑하사 독생자 주셨으니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으리라 주 십자가에 달리시며 강도에게 하신 말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가 있으리 주가 그의 자년들을 길이 축복하시고 너의 쓸 것 미리아사 풍족하게 주시리 주가 십자가에 달려 ..

관아원림의 상징, 남원 광한루원

광한루원(명승 제33호)은 전북 남원시 천거동에 위치한 관아원림의 상징이다. 남원은 의 배경이 된 고장으로 남원시 들어가는 입구의 ‘춘향이 눈물방죽’을 시작으로 광한루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춘향을 상징한다. 이 지방에 전해지는 판소리와 국악의 중심에도 춘향이 자리하고 있다. 광한루원은 조선시대 지방관아에서 조성한 관아원림을 대표하는 고정원으로 우리나라 조경사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곳은 1419년 황희가 ‘광통루’라는 작은 누각을 지어 산수를 즐기던 곳이었으나 세종조에 정인지가 누원의 경치를 보고 감탄하여 마치 달나라의 미인 항아가 살고 있는 월궁의 ‘광한청허부’와 같다고 하여 광한루로 이름을 고친 것이라 한다. 그 후 남원부사로 부임한 장의국은 광한루를 중수하고 요천의 맑은 물을 끌어들여 은..

여행 2023.01.04

숲을 통해 보는 행복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숲이란 단어는 행정 용어로 산림(山林)과 같은 말로써, 수풀이 줄여서 된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이 숲은 고명한 의사도 치료약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녹색물결이 일렁이는 이곳을 찾으면 행복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이 우리 몸에 쏟아지고,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높아지며, 마음을 억압하는 울증(鬱症=우울증)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우리 주변에서는 심신(心身)이 병들어 삶이 곤고해지면 마지막 수단으로 산림이 우거지고 맑은 물이 흐르는 경치 좋은 산속으로 들어가서 요양을 하곤 하였습니다. 그리고 사람 구실 못했던 사람이 수년 뒤 건강한 모습으로 고향에 돌아가는 것을 보아 왔습니다. 다만, 우리가 특별한 관심을 갖지 않고 지나쳐 버렸을 뿐이라 생각합니다. 숲이 ..

글쓰기/단상 2023.01.03

천년의 기다림, 정읍사오솔길1코스

정읍사오솔길1코스는 전북천리길 4가지 테마길(산들길, 해안길, 강변길, 호수길) 중 산들길에 속해 있는 정읍시 제1길의 명칭이다. 정읍사(井邑詞)는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가요로,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속악의 가사로 불려졌다. 〈고려사〉와 〈동국여지승람〉에 노래의 제작경위가, 〈악학궤범〉 권5에 가사가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 의하면 정읍의 한 행상인이 행상하러 나갔다가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가 망부석에 올라가 남편이 돌아올 길을 바라보며 혹시 밤길에 해를 입지나 않을까 염려하여 지어 부른 노래라고 한다.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나 '어긔야' 등의 여음이 있으며 형식은 3연 6행이다. 기상 예보은 눈이 많이 오지 않는다고 하여 집을 나섰으나 정읍행 버스 안에서 차창 밖을 보니 많은 눈이..

명소의 출렁다리

우리나라에는 관광 명소가 많이 있습니다. 산과 호수 그리고 강이 흐르는 곳곳마다 풍광이 수려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장소입니다. 이러한 유명한 산의 협곡이나 강물 위에 찾는 사람들이 건너며 스릴과 기쁨을 맛볼 수 있는 현수교 출렁다리가 있어서 전국의 탐방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습니다. 금년 한해 동안 다녔던 명소의 출렁다리 사진을 모아 소개합니다.

여행 2022.12.29

섬진강 요강바위 장군목길 걷다

장군목길은 전북천리길 4가지 테마길(산들길, 해안길, 강변길, 호수길) 중 강변길에 속해 있는 순창군 제1길의 명칭이다. 자차로 구미교로 가서 둘레길을 시작하다. 도로 양지편은 쌓인 눈이 많이 녹아 통행에 지장이 없었으나 음지편은 조금 걷기에 신경이 쓰였지만 눈길을 걷는 맛과 멋이 있어 그런대로 좋았다. 이 길은 어제 걸었던 섬진강길 바로 이어지는 곳으로 관할 군 경계만 다를 뿐이다. 한적하고 호젓한 강변길을 휘적휘적 걸어 마실숙박단지를 지나 섬진강을 가로 지르는 107m 현수교를 건너다. 강변의 큰 바위들이 거센 물살에 오랫동안 다듬어져 기이한 모양들을 연출하고 있으며 특히 매끄럽게 패인 요강바위는 볼수록 신기하다. 용궐산 암벽 위로 잔도를 만들어 유명해진 하늘길이 손짓한다. 산 아래 용궐산치유의숲 주..

가로수 소감

우리나라 거리거리에는 길을 따라 줄지어 심어놓은 나무들이 있습니다. 일명 가로수(街路樹)입니다. 남쪽지방 순천에는 후박나무 가로수가 있습니다. 겨울에는 동해(凍害)를 입어 말라죽은 가지가 생기지만, 그래도 상록활엽수로써 항상 싱싱하고 푸른 기상으로 의연한 자태를 지키면서 보는 이의 마음에 생명의 싱그러운 감흥(感興)을 불러일으킵니다. 특히 여러 해 전에 진도섬 가로수 후박나무에서 보았던 느낌은 잊을 수 없습니다. 뜨거운 태양아래 초록색 잎마다 마치 코팅 약을 발라놓은 것처럼 반짝였고 싱싱한 건강미를 발산하는 후박나무 잎의 건강한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2000년대 중반에 보았던 제주도 가로수 먼나무는 난대(暖帶) 상록활엽수로써 빨간 열매가 아름다워 조경적 가치(價値)가 돋보였을 뿐만 아니라, 관광..

글쓰기/단상 2022.12.27

감성의 강, 섬진강길 걷다

섬진강길은 전북천리길 4가지 테마길(산들길, 해안길, 강변길, 호수길) 중 강변길에 속해 있는 임실군 제3길의 명칭이다. 며칠 전 내린 눈이 산과 들에 하얀 이불을 덮어 놓은 것 같지만 도로는 제설 작업과 햇볕으로 차량 소통에 지장이 없다. 전주 남부시장정류장 밑 시외버스정류장에서 순창 가는 직행을 타고 강진에서 하차하여 5분 뒤 순창 가는 농어촌 버스로 물우리정류장에 하차하다. 홍수 걱정 없이 건너 다닐 수 있는 새 교량 물우교를 지나 물우리회당 앞 둘레길안내판에 도착하다. 섬진강길은 강변 근처에 있어 물(홍수) 걱정이 끊이지 않아 물우리라 불리는 마을에서 이렇게 시작하다. 물우리 월파정(밀양 박씨 후손들이 선조의 덕을 기리기 위해 1927년 지은 정자)에 이르니 섬진강과 치천이 합수 되는 것을 바라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