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297

붕장어다리의 낭만 여자도를 찾아서(동영상 포함)

여자도(汝自島)는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에 있는 면적 0.59㎢, 해안선 길이 7.5㎞ 섬으로 대여자도와 소여자도로 구분되고 인도교 붕장어다리(560m)가 연결되어 있다.여수반도(麗水半島)와 고흥반도(高興半島) 사이에 있는 순천만(順天灣) 중앙에 자리한다. 여수시(麗水市) 소라면에서 서쪽으로 6.4㎞ 지점이며 주변에 동굴섬, 납계도, 동도, 매물섬 등의 무인도가 있다.육지와 교통이 불편하여 모든 생활 수단을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였기에 ‘스스로 자(自)’를 써서 여자도라 하였다고 한다.대여자도 취락은 북단에 있는 대동마을에 집중되며 남단에는 마파지마을이 있고, 소여자도는 소여자마을이 있다.해산물로는 낙지・새우・장어가 어획되고, 갯벌에서는 새고막・피조개・키조개 등이 잡힌다.교통은 여수 소라면 섬달천..

여행 2025.04.09

걷기 좋은 치유의 섬 승봉도(동영상 포함)

승봉도(昇鳳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에 위치한 면적 2.22㎢, 해안선 길이 9.5km 섬으로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42km, 덕적도에서 남동쪽으로 14km 해상에 있다.승봉도는 아득한 옛날에 신 씨와 황 씨가 고기를 잡던 중 풍랑을 만나 대피한 곳으로써, 며칠 동안 굶주린 시장기를 달래기 위하여 섬의 이곳저곳을 둘러보니 경관도 좋고 산세도 괜찮아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라 판단되어 정착하였다고 전해지는 섬이다. 이곳의 지형이 마치 봉황이 하늘을 올라가는 모양과 같다 하여 ‘승봉’이라 부른다고 한다. 승봉도는 인천과 가까운 거리로 힐링여행지로 최적의 섬이다. 해안산책로 주변으로 자생 해송림이 넓게 분포되어 산림욕을 즐길 수 있으며, 촛대바위와 남대문 바위 등을 만날 수 있어 가벼운 트래킹을 즐..

여행 2025.04.07

신기루 같은 풀등이 있는 대이작도(동영상 포함)

대이작도(大伊作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에 위치한 면적 2.571㎢, 해안선 길이 11.8km 섬으로 인천 연안부두에서 44km 거리에 있다.옛날에 해적들이 이 섬에 숨어 살았다고 하여 이작도라 불렀다고 한다.부아산 정상에서 보는 푸른 바다와 썰물 때만 나타나는 바다 위 신기루 풀등은 대이작도의 백미이다. 소이작도 근처까지 약 30만 평의 거대한 모래벌판이 나타나면 마치 해신의 마술쇼를 보는 듯하다 라고 한다. 풀치라고도 불리는 모래섬은 하루 약 6시간 정도 썰물 때만 그 모습을 드러내고 순식간에 사라지기에, 시간을 맞춰야만 볼 수 있는 곳이다. 또한 대이작도의 생태환경, 서식하는 생물, 지리적 특징 등에 대해 알 수 있는 해양생태관이 설치되어 있다.당일치기 탐방으로 물때를 맞추지 못하여 풀..

여행 2025.04.02

붉은 달의 섬 자월도 국사봉길(동영상 포함)

자월도(紫月島)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에 속한 면적 7.26㎢, 해안선 길이 20.4km의 섬으로 대이작도·소이작도·승봉도 등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조선시대에 이곳으로 귀양온 사람이 첫날밤 보름달을 보며 자신의 억울함을 한탄하니 갑자기 달이 붉어지고 바람과 폭풍우가 일어 하늘도 자기의 마음을 알아준다 생각하고 섬의 이름을 자월도라 했다고 한다.섬 중앙에 있는 국사봉(166m)을 비롯하여 100~150m 내외의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지는 거의 없다. 남쪽 해안에 있는 장골해수욕장(길이 1km, 폭 400m)은 최근 여름철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인천항과 대부도에서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전주 다정산악회 따라 대부도 방아머리항에서 08:30 배로 한 시간쯤 걸려 자월도..

여행 2025.03.31

하의도 김대중모실길을 찾아서(동영상 포함)

하의도(荷衣島)는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있는 면적 14.46㎢, 해안선 길이 32km 섬으로 연화부수형(연꽃으로 만든 옷 모양)이라 하여 하의도라 한다.섬은 능산도를 머리 앞에 두고 꼬리 쪽에 상태도와 하태도를 둔 한반도와 비슷한 모양이다. 다양한 산열로 곶과 만이 발달한 해안이면서 북쪽은 넓은 갯벌이고 장병도까지 이어진다. 많은 방조제로 바다를 막아 농경지가 많으며 염전과 새우양식장도 많다. 섬 중앙부 동쪽에 중심항인 웅곡항이 있고 국도 2호선이 관통하며 남쪽 신의면과 삼도대교로 연도되어 있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고 김대중 대통령의 고향이며 일제강점기 3도 농민운동이 일어난 곳이며 주업이 농업이다.목포시(木浦市)에서 남서쪽으로 37.8㎞ 떨어진 지점에 있어 차도선으로 2:30, 쾌속선으로 1:15이 ..

여행 2025.03.25

우이도 달뜬몰랑길을 찾아서(동영상 포함)

우이도(牛耳島)는 전남 신안군 도초면에 딸린 2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우이군도(화도, 항도, 승도, 송도, 가도, 어락도 등)의 주도로서 면적 10.70㎢, 해안선길이 21km이다.섬의 서쪽 양단에 두 개의 반도가 돌출한 것이 소의 귀 모양으로 보여 붙여진 이름으로 ‘소구섬’, ‘우개도’라고도 했다.섬은 1구 마을(수군 주둔 마을)과 2구 마을로 나누어져 있으나 연결된 도로가 없고 현재, 도로 공사 중이다.조선시대 표류되어 유구(오끼나와), 여송(필리핀), 중국 마카오를 거쳐 4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홍어장수 문순득(1777~1847)이 당시 우이도에 유배살이(흑산도와 우이도 오가며 삼) 했던 정약전(신유박해, 자산어보 저자)에 표류담을 전하여 ‘표해시말(漂海始末)’ 책을 남겼다.진리마을 입구 바닷가에..

여행 2025.03.24

야생화의 천국 풍도를 찾아서(동영상 포함)

풍도(豊島)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에 속한 면적 1.84㎢, 해안선 길이 5.5㎞의 섬으로 인천광역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41㎞, 대부도에서는 남서쪽으로 약 17㎞ 지점에 있다. 주위에는 승봉도·대난지도·대이작도 등이 있다. 섬 주변에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해서 풍도라 부른다.섬의 모양이 대체로 둥글며, 섬 중앙에 높이 176m의 구릉이 솟아 있으며 해안선이 단조로운 편이고 인천에서 출발(대부도 경유)하는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3월이 되면 야생화군락지에 전국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어 야생화 천국이라 부른다.구한말 일본이 청나라에 선전포고를 하고 대륙침략의 첫 총성을 울린 풍도 앞바다에서 1894년 7월 일본의 포격으로 청나라 함선이 침몰하여 1,100명의 병사들이 수장되었다.전주에서 224km 거리를 ..

여행 2025.03.19

소안도 대봉산둘레길을 찾아서(동영상 포함)

소안도(所安島)는 전남 완도군 소안면 소안군도의 주섬으로 면적 23.226㎢, 해안선 길이 42km이며 완도에서 남쪽으로 약 17.8㎞ 떨어져 있다.소안도는 함경도 북청, 부산 동래와 더불어 항일운동이 치열했던 곳으로 지금도 마을과 트레킹 길 곳곳에 태극기가 게양되어 있다.주위에는 청산도·대모도·보길도·노화도 등이 있다. 본래는 남쪽과 북쪽 2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너비 500m, 길이 1.3㎞ 되는 사주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섬이 되었다.유적으로 비자리에 1874년(고종 11)에 설치된 소안진터와 항일 기념탑이 있으며, 맹선리 해안에 왜구가 침입하여 지었던 움막집터가 있다. 소안도 미라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339호), 맹선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340호)이 방풍림 역할을 한다.완도 화흥포항..

여행 2025.03.18

호국돈대를 순례하는 강화나들길(동영상 포함)

강화도(江華島)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면적 305.75㎢, 해안선 길이 106.5㎞ 섬으로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큰 섬이며 강화군의 주도(主島)이다.경기만 북쪽의 한강 하구에 있으며, 동쪽의 강화해협(폭이 200~1,000m이며 조석 간만의 차도 9m나 되어 조류 속도가 11~13km)을 사이에 두고 경기도 김포시와 접해 있으며 강화대교, 초지대교와 연결되어 있다.강화는 강과 관련된 지명으로, 한강, 임진강, 예성강 등의 ‘여러 강을 끼고 있는 아랫고을’이라고 하여 강하(江下)라고 부르다가 ‘강 아래의 아름다운 고을’이라는 뜻으로 강화(江華)라고 고쳐 부른 듯하다.과거 몽골제국, 프랑스, 미국의 침략에도 무너지지 않고 견디어 온 불멸의 섬이다.강화대교 아래 갑곶돈대에서부터 초지대교 초지진에 이르는 ..

여행 2025.03.11

물메기 고장 추도를 찾아서(동영상 포함)

추도(楸島 가래섬)는 경남 통영시 산양읍 추도리에 있는 면적 1.643㎢, 해안선 길이 12.0㎞의 섬으로 통영에서 남서쪽으로 14.5㎞ 거리에 위치하며 후박나무(천연기념물 제345호)가 있다.섬의 형상이 자루가 긴 농기구인 가래처럼 생겨 가래섬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화하면서 추도가 되었다.취락은 대항마을과 미조마을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외에 샛개마을과 물개(어둠골)마을이 있으며 과거 물메기의 고장이었으나 고기가 잡히지 않는다고 한다. 통영에서 정기 여객선이 하루 2차례 오가며 오전 배는 먼저 미조항에 들려 한목항으로 가고 오후 배는 먼저 한목항에 들려 미조항을 거쳐 통영으로 간다.추도 큰산(희망봉) 9부 능선에 용천수가 있으며 아무리 가뭄이 와도 물 하나만은 최고의 부자 섬이다.샛개끝 해안 절벽은 최고..

여행 2025.03.10